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WebUI - 08. Script(X/Y/Z plot) 기능

2024. 11. 7. 23:45·IT 활동/AI
목차
  1. 1. Script 기능
  2. 2. X/Y/Z plot
어두운 배경이 싫으시다면 페이지 우측 하단에 보이는 초승달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화이트모드로 변경됩니다.
초승달 모양 버튼 : 화이트/다크 모드 전환
테마모드 변경 가이드

 

1. Script 기능

WebUI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특수한 기능입니다. 그 중에서 'X/Y/Z plot'이라는 기능을 제일 많이 사용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다른 기능들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2. X/Y/Z plot

해당 기능은 X(열)와 Y(행), 그리고 Z(면)으로 다양한 설정을 조합하여 이미지를 생성해보고 비교해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여러가지 설정이나 프롬프트, 모델별로 이미지를 생성하여 비교해보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WebUI를 실행하고 맨 아래에 보면 'Script'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 아래 박스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들 중에서 'X/Y/Z plot'을 선택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bUI의 Script 기능들 중 X/Y/Z plot 기능
WebUI의 Script 기능들 중 X/Y/Z plot 기능

 

'X/Y/Z plot'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로 확장됩니다. 여기서 상단 부분이 적용하여 비교할 X, Y, Z 값을 설정하는 부분이고, 그 아래는 옵션 설정에 관한 체크박스들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위쪽의 각 'X, Y, Z type'들과 'Values'이고, 그 아래 체크 옵션은 상황에 따라 체크하거나 제외하면 됩니다. 여기서 각 'Type'은 어떤 설정을 비교하고 싶은지를 설정합니다. type 박스를 선택하면 다양한 설정값들을 볼 수 있습니다. 'values'는 설정한 type에 해당하는 값이나 모델 등을 몇 가지 비교해볼지 넣어주는 곳입니다.

 

X/Y/Z plot 기능 옵션들
X/Y/Z plot 기능 옵션들

 

아래는 'X type'을 'Sampler'로 설정하고, 'X values'에는 클릭하면 어떤 'Sampling method'를 선택할지 나오는데 저는 'DPM++ 2M', 'DPM++ SDE', 'DPM++ 2M SDE', 'Euler a'를 선택하였습니다. 아래 옵션 중 'Draw legend'만 체크되어 있는 상태로 'Generate'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생성하면 각각의 value들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을 생성합니다.

 

X/Y/Z plot 사용하여 이미지 생성하기
X/Y/Z plot 사용하여 이미지 생성하기

 

이때 이미지 생성 시간은 설정한 value들만큼 걸리며, 만약 X와 Y를 세 개씩 설정하면 3x3로 총 9개의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그러면 그만큼 생성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고 이미지를 생성하면 'Preview' 결과 이미지에는 Grid 형태로 합쳐진 이미지 한 장만 생성되어 보입니다. 물론 각각의 이미지는 [output] 폴더 안에 [txt2img-images] 라는 폴더에 저장되며, 위의 Grid 이미지는 [txt2img-grids] 폴더 안에 저장됩니다.

 

X/Y/Z plot 사용하여 생성한 이미지의 결과물
X/Y/Z plot 사용하여 생성한 이미지의 결과물

 

이미지를 생성할 때 각각의 이미지를 'Preview' 결과에서도 보고 싶다면 체크옵션 중 'Include Sub Images'를 체크하면 됩니다. 그리고 'Draw legend' 옵션은 위의 그림처럼 설정된 값이 제목부분으로 들어가게 합니다.

 

아래 예시는 'Draw legend'와 'Include Sub Images'를 각각 체크하고, 'X, Y, Z'를 모두 설정한 뒤 생성한 결과모습과 이미지입니다.

 

X, Y, Z 모두 적용하고 Draw legend와 Include sub images 옵션을 체크한 뒤 나온 결과 모습
X, Y, Z 모두 적용하고 Draw legend와 Include sub images 옵션을 체크한 뒤 나온 결과 모습

 

간단하게 아래 Grid만을 보고 추측해보자면, 'DPM++ 2M'의 경우 값에 의한 변화가 매우 적은 반면에 'Euler a'는 값에 의한 이미지 변화가 큰 편입니다.

 

즉, 'Euler a'는 값에 의해서 다양한 이미지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DPM++ 2M'의 경우 큰 변화는 없고 오히려 CFG 8 / Steps 40에서 팔이 하나 더 그려진 것을 보아 오히려 낮은 값일 때, 그리고 프롬프트에 의해서 어떤 이미지를 빠르게 보고싶을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XYZ plot의 결과 Grid 이미지
XYZ plot의 결과 Grid 이미지


구독 및 좋아요는 컨텐츠를 생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1. 1. Script 기능
  2. 2. X/Y/Z plot
'IT 활동/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WebUI - 10. Inpaint 기능 사용법
  • 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WebUI - 09. img2img 사용법
  • 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WebUI - 07. Lora 사용법
  • 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WebUI - 06. 프롬프트 작성법
RightNowHJ
RightNowHJ
온갖 잡다한 IT 관련 지식 모아모아 공유하는 블로그 (옛 LeePorter 블로그 이전)
  • RightNowHJ
    잡식성 개발자의 블로그
    RightNowHJ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7)
      • IT 활동 (44)
        • 티스토리 (16)
        • 소프트웨어 (13)
        • AI (15)
      • 프로그래밍 (12)
        • 언리얼엔진 (9)
        • C++ (3)
      • 일상생활 (11)
        • 이슈모아보기 (5)
        • 실생활지식 (5)
        • 재테크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Utility
    AI 이미지
    티스토리
    스테이블 디퓨전
    오블완
    AdSense
    수동 광고
    Unreal Engine
    구글 애드센스
    부동산
    언리얼 엔진
    stable diffusion
    블로그
    메타 퀘스트
    다크모드
    sd 1.5
    을사년
    UE5
    소프트웨어
    Meta Quest
    WEBUI
    유틸리티
    부담부 증여
    티스토리챌린지
    웹 ui
    hELLO 스킨
    광고
    셀프 등기
    언리얼5
    플러그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RightNowHJ
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WebUI - 08. Script(X/Y/Z plot) 기능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